[스페셜이슈]장소의 재발견③

도시의 재해석
명이식, <도시의 표면>


 

이촌, 2007


명이식 작가의 <도시의 표면>전 작품들은 모두 도시의 특정 장소를 가리키고 있다. 그러나 사실 우리는 사진 속에서 그 장소가 어느 곳인지 쉽게 판별하기 힘들다. 그가 찍은 여의도와 동탄, 논현, 방배, 이촌 사이에는 어떠한 구별점도 없다. 오히려 그의 사진은 장소가 가진 특수성을 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반복적 패턴을 가진 거대한 조직으로 보여준다. 그래서 이 <도시의 표면>은 환경과 관계를 내포하는 장소적 성격보다는 부속품같이 기능적인 성격을 강하게 드러낸다.


명이식 작가는 2000년부터 도시에 대한 작업을 시작해 지금까지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서울예술재단에서 4월 11일부터 5월 3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가 그의 세 번째 개인전이다. 전시마다 조금씩의 변주는 있지만 모두 도시의 표면을 드러낸다는 점에서는 일관적이다. 여기에는 사람과 생활에 대한 어떤 움직임의 기미도 없이 하나의 권력처럼 보이는 큰 규모의 건물들과 그 건물들이 내포하고 있는 반복성만 나열되어 있다.


 

동탄, 2016


장소성을 잃어버린 채 구조화되고 획일화되어 가는 도시를 일종의 유형학적 미니멀리즘으로 포착해내는 이러한 작업 방식은 사실 이미 익숙한 방식이다. 작가도 유형학적 미니멀리즘 이론을 중심으로 대학원에서 석사 논문을 썼고, 안드레아 그루스키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동일한 양식의 작업에 새로운 변주를 염두에 둔다. 잃어버린 장소성에 새로운 물성을 다시 짓는 방식으로 말이다.


2014년에 트렁크갤러리에서 열린 <규칙과 반복 속에 갇힌 일탈>전의 경우 그는 반복적인 도시 건물의 규칙적인 행렬들 사이에서 “떠가는 구름과 빌딩 옆의 채 제거되지 않은 잡초들, 바람에 살랑이는 나뭇잎들과 빌딩에 비친 풍경과 얼룩들”(최봉림, <규칙과 반복 속에 갇힌 일탈> 전시 서문 중)을 드러냈다. 그것들은 도시의 구조물들 속에 존재하지만 누구도 인지하지 못했던 획일화된 반복 속 우연과 일탈이다.


 

호남, 2013 


이번 <도시의 표면 - 그 위로 자라는 잡초>전에서 보여주는 작품에서도 반듯한 격자형 건물 곳곳에서 작은 오브제들이 튀어나온다. 견고한 형태에 생기는 그림자나 얼룩, 시멘트 구조 틈에서 조용히 자란 잡초의 모습들이 그러하다.

 
“(그는) 단순한 구조, 규칙적인 패턴, 압도적인 규모에 천착하면서도, 동시에 그러한 속성들 사이에서 무덤덤하게 자라난 잡풀들의 존재를 끝내 무시하지 못한다. 차곡차곡 쌓아 올린 거대한 돌담의 미세한 균열을 깨고도, 이름 모를 잡초는 피어난다 (…) 도시의 빌딩과 아파트, 그 속에서도 하나하나 자신만의 ‘개별적 유닛’을 형성하며 생존해가는 인간들이 있다. 그들은 커튼을 살짝 열어젖히거나, 창문을 조금 열어놓는 방식에서 조금씩 차이를 드러내며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김인혜, 전시 서문 중
 

경부, 2013


그는 지금 내부를 들여다볼 수 없는 빽빽한 도시의 표면에 조금씩 틈을 만들고 있다. 도시의 거대한 조직적 메커니즘 속에서 작게 열린 창이나 조용히 피어나는 잡초, 그렇게 자신의 자리를 알리려는 익명의 존재들. 그는 지금 이러한 틈새의 소재들로 도시의 장소성을 다시 구축하고 있다.


명이식은 덕원갤러리(2009)와 예술의전당 갤러리(2011), 그리고 트렁크갤러리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그 외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현재 신일학원과 효성그룹, 미술은행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해당 기사는 2017년 5월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글 : 편집부
이미지 제공 : 명이식 작가